Transitioning into and out of precarious 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Evidence from asymmetric fixed effects models
등록일 2024-03-14 151 |
---|
제목: Transitioning into and out of precarious employment and life satisfaction: Evidence from asymmetric fixed effects models
한국에서 불안정한 고용 상태의 임금 노동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불안정한 고용 상태는 심리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고용 상태의 안정성이 변화할 때 심리적 영향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고용 상태의 안정성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방향에 따라 삶의 만족도가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이 관계가 성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고용상태가 불안정적인 상태에서 안정적인 상태로 전환될 때 삶의 만족도 향상과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지만, 안정적인 상태에서 불안정적인 상태에서 전환될 때는 유의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양상은 여성이 아닌 남성에게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고용의 안정성 증진이 개인 삶의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국가 대표성이 있는 한국복지패널을 활용하고 고용 상태 변화 양상의 방향별 영향을 분리해 추정할 수 있는 선진적인 비대칭적 고정효과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고용상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보다 정밀하게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고용안정성과 심리적 안녕 사이의 관계를 다각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회경제적 요인이 개인의 건강과 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기여했다. |